뒤끝터디 5주차 – 파티셔닝1. 들어가며5장에서 복제를 다루며 동일한 데이터를 여러 노드에 저장하는 방식을 배웠다. 이중화로 읽기 처리량을 높이고 장애 대응도 가능해졌지만, 여전히 데이터가 너무 많거나 요청이 너무 많은 상황은 복제만으로 감당할 수 없다. 이럴 때 등장하는 해결책이 바로 데이터 파티셔닝이다. 이번에는 파티셔닝과 다양한 기법들, 그리고 클러스터 환경에서의 재균형화 전략까지 적혀있어 읽어 보았다. 2. New – 새롭게 알게 된 개념 정리2-1. 데이터 파티셔닝의 진짜 이유파티셔닝을 고민하는 이유는 명확하다. 확장성이다.단일 장비로 처리할 수 없는 수준의 데이터를 쪼개서 여러 장비에 나누고, 그에 따라 저장과 질의 부담을 분산하려는 것이다. 단순히 데이터를 나누는 것이 아니라, 어떻게 나눌..